“가입한 지 3년 됐고 자동 갱신되니까 괜찮겠지…”
그런데 사고가 나자, 기계 보장은 빠져 있고, 재고 금액도 3년 전 그대로였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됐습니다.
공장 화재보험은 자동 갱신된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, 내용 갱신이 더 중요합니다.
오늘은 공장 사장님들이 보험 갱신 시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핵심 체크포인트를 알려드립니다.
✅ 1. 현재 자산가치 반영됐나요?
- 기계 설비를 새로 들였거나 교체했나요?
- 재고량이 예전보다 늘었나요?
- 인테리어, 냉방·배관 공사 등 비용이 추가됐나요?
→ 자산 변화가 생겼다면, 가입 금액도 재조정해야 합니다. 그대로 두면 과소 가입으로 보상금 삭감이 발생합니다.
✅ 2. 기계·재고·외부설비 특약 누락됐나요?
특약은 대부분 자동 갱신 대상이 아니며, 사장님이 직접 체크해야 합니다.
- 기계손해 특약
- 재고자산 특약
- 부속설비 특약(간판, 실외기, 저장탱크 등)
- 화재배상책임, 영업손실 특약
→ 누락되면 사고 났을 때 **‘이건 특약 없으셔서 안 돼요’** 라는 말 듣게 됩니다.
✅ 3. 위험작업 내용은 현재도 동일한가요?
- 최근 용접·열처리·도장 등의 공정을 새로 도입했나요?
- 유증기, 분진, 가연성 물질 취급 시작했나요?
→ 고위험 작업은 반드시 보험사에 고지해야 하며, 미고지 시 사고 발생 시 보험금 전액 거절될 수 있습니다.
✅ 4. 보장 금액이 자산 대비 적정한가요?
자산은 10억인데 보험은 5억짜리? 그럼 화재로 1억 피해 나면, 보상금도 절반인 **5천만 원만 나옵니다.** → 비례보상 원칙 때문에 과소 가입은 큰 손해입니다.
✅ 5. 갱신 후 증권 내용, 직접 검토하셨나요?
- 보험사 직원이 ‘그대로 갱신됩니다’ 라고만 하고 끝냈다면 위험
- 증권에 보장 항목, 가입 금액, 특약 여부 명확히 표시됐는지 확인 필요
- 의심 가는 부분은 반드시 담당자와 서면 확인 요청
📌 갱신할 때는 '가입 당시'보다 더 꼼꼼해야 합니다
- 공장은 운영하면서 자산도 변하고, 공정도 달라집니다
- 그런데 보험은 예전 기준 그대로라면, 사고 시 커버되지 않는 보장 공백 발생
- “계속 유지되고 있으니 괜찮겠지”는 위험한 생각
🙋 자주 묻는 질문 (Q&A)
Q. 자동 갱신이면 특약도 자동으로 연장되나요?
아니요. 일부 특약은 자동 연장되지 않거나, 조건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. 반드시 증권을 확인하거나 보험사에 직접 문의해야 합니다.
Q. 갱신 시 보험사에서 먼저 연락 안 주나요?
보험사에 따라 다르지만, 대부분은 자동 갱신 안내만 발송되고 보장 변경 여부에 대한 안내는 없습니다. 사장님이 직접 확인하셔야 합니다.
🔗 참고 링크
📌 마무리하며
보험은 ‘갱신’보다 ‘점검’이 중요합니다. 공장 사장님이라면, 계약 갱신 시 반드시 현재 자산과 리스크에 맞게 재설계해야 사고 시 제대로 된 보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보험 갱신 알림이 왔다면, 이제는 내용을 직접 확인할 차례입니다.
보험 갱신했다고 안심하지 마세요! 화재보험 갱신 시 꼭 점검할 5가지
2025.08.04 - [분류 전체보기] - 공장 화재보험, 가입 전 이 5가지만 봐도 손해 안 봅니다
2025.08.04 - [분류 전체보기] - 기름불 났는데 보험이 안 된다고요? 음식점 화재 진짜 보장범위
2025.08.04 - [분류 전체보기] - 내 화재보험, 어디까지 보장될까? 사례로 딱 정리!
2025.08.04 - [분류 전체보기] - 상가 화재 발생!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?
2025.08.03 - [분류 전체보기] - 불 끄고 나서 시작된 진짜 피해… 영업 중단 손실, 보상받을 수 있을까?